명품장터 명명품장터 난1장터 난2장터 난3장터 난4장터 난5장터 난6장터 신토불이
풍난장터 구)명명품경매방 신)명명품경매방 신)춘란경매1 신)춘란경매2 재배문의 산채기 알림방 난자랑 사랑방
  • 산 울 림
  • 올 란
  • 민 정 난
  • 합천영호방
  • 해뜨는난원
  • e 농 원
  • 난하랑
  • 옹 달 샘
  • 강 릉 난원
  • 난 청 솔
  • 금란지계
  • 해나
  • 천운소난원
  • 어 울 림
  • 중국약초
  • 난코딩
  • 아 정
  • 산 과 벗
  • 백솔
  • 천사1004
  • 레인보우
  • 백 송 난 원
  • 나 누 리
  • 난하나
  • 등 대 난
  • 난 해
  • 송 월
  • 좋은미팅
  • 난이원
  • 청 우
  • 우림난원
  • 채란방
  • 영심이
  • 우 듬 지
  • 산 풀
  • 홍 두 소
  • 대 망
  • 남해
  • 개인장터
  • 승학산약초
  • 약초지기
  • 초 대 물
  • 헤라
  • 난초의미학
  • 춘란원
  • 신안산채
  • 광 한 루
  • 초대물
  • 샘터난원
  • 모두의춘란
  • 두 홍 소
  • 난하나
  • 명 품 방
  • 청송난원
  • 마루짱
  • 노 송
  • 머 루
  • 산 맥
  • 명 주
  • 난 이 좋 아
  • 산 직
  • 난러버
  • 늘 품
  • 심봤다난
  • 난 향 정
  • 낙 천 수
  • 천예담
  • 행복난원
  • 형제난원
  • 일청송
  • 연 화 난
  • 쏠개
  • 한국산삼/
  • 신안1004
  • 오직산채
  • 홍익난
  • 엔돌핀
  • 산채 장터
  •  
    작성일 : 24-05-23 10:22
    난(蘭)용어에 관하여...
     글쓴이 : 일청송
    조회 : 50  
    우리 일부 애란인들이 애란 생활을 하면서 아직도 일본 식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사용하는 것도 뜻을 잘 이해 하지 못하고 상통은 되나 그냥 사용하고 있는데 대하여, 우리말 사용을 홍보 권고 드리고자 올립니다. 아울러 저는 난 애란 생활을 하면서 산행 입산 때 자연환경 보호를 최우선으로 할 수 있도록 홍보 권고하여, 많은 개선이 됐고, 여기에 보람을 느끼며, 과거 원시 애란 생활 시원은 생략하고,근대에 이러서 난(蘭) 역사가 중국 , 일본, 한국 순으로 번성하다 보니 난초 뿐만 아니라 분재 수석 노래방 등이 일본 유행에 따라서 한국도 유행 번성 하여였고, 더욱이 우리나라는 과거 좋지 못한 일제 식민지 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생활 속에는 일본 식 생활 용어가 습관화 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서, 저는 그동안 생할 관련 및 난초 관계 잡지, 카페,매체 등에 우리 말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홍보 권고해 많은 개선 효과도 이루었습니다. 우리 일부 애란인들이 아직도 제일 많이 사용하는 난초(식물)수를 셀 때 가보 또는 카바라고 합니다. 이해를 못 하는바는 아니나, 도대체 뭔 말인지?! 일본말도 잘하면 외교 문제 등으로 좋은 면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굳이 말 하지 않아도(생략하면서 일본은 지금도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억지 주장을 하고 교과서를 편찬해 교육을 시키고 있습니다) 일본이 식물 단위 숫자를 셀 때 가부(株)카부)라고 하는데 우리 일부 애란인들이 일본말을 사용한다해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우리말을 사용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가보 또는 카바라고 사용합니다. 우리말로 고쳐 사용합시다. 우리말은 초(草)본식물(난초포함)은 여려촉이 붙어서 떨기를 이루고 있거나 1개드라도 한 포기  두포기 (몇 촉짜리 한 두 포기)라고 불러야 하며. 목(木)본 식물은 그루(예:한 그루, 두 그루 등)라고 불러야 합니다. 무라사키(보라색:자색), 마쓰(松나무 잎같이 이끼 낀 모양을 연상), 하나(꽃) 등을 마치 오랜 경력을 자랑이라도 하듯이 일본말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일본 용어를 부끄러운줄 모르고, 사용하는 일부 애란인들이 아직도 있어서 감히 올리니 동참하여 우리말 사용을 홍보 권고 합시다. 우리 난 계에서도 오래전부터
     이미 우리말을 제정하여  홍보 권고 했었습니다. 여기에 용어가 뜻 글(한문)로 돼 있는데 거의 일본에서 명(銘) 하였던 일본 식 용어인데, 아마 우리나라가 춘란을 먼저 시작했드라도 일본이나 한국도 한문을 사용했었고, 사용하기때문에 우리도 한문 뜻 글 예: 복륜(覆輪) 등으로 명명 했을것으로 추정 됩니다. 그래서 이런 뜻 글 이름은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생각이 들고, 순수 우리말로 복륜반을 갓 테투리 무늬 하면 어감이 좀 길고 우리도 한자를 병행 사용하고 있으니 복륜(갓테두리무늬) 중투(속빛무늬) 산반(빗살무늬),호(줄무늬), 호랑이가죽무늬(호피반), 뱀가죽 "비닐'무늬(사피반), 노랑색꽃(황화),빨강색꽃(홍화) 등은 그냥 중투 산반 복륜 호(縞) 호피반(虎皮斑) 사피반,황화, 홍화 등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순수 우리말과 병행 사용해도 무방 하다고 생각이들며. 단 호반(縞斑=줄무늬)과 호피반(虎皮斑)은 앞 호자가 있으니 구분 사용을 해 헷갈리지 않게 사용 해야 할 것이며, 우리 애란인 모두 다 같이 우리말 사용으로 즐거운 애란 생활을 위하여 화이팅^^~♥

     
     

    Total 1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 바크 재배및 자기장 물주기 난보고 20-07-15 373
    16 잠시 쉬어가세요 산울림 18-12-14 318
    15 산과벗 배너입니다. 자미르 19-04-18 284
    14 이런일이 (1) 트로트산행 19-12-21 281
    13 환상의 불꽃 쇼 산울림 18-12-25 274
    12 즐감하세요~~~ 산울림 18-12-14 269
    11 Merry christmas 산울림 18-12-25 261
    10 9 잎장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난보고 20-07-17 223
    9 애란인분들 사랑합니다 트로트산행 20-03-11 213
    8 여수 난 코너 분양 알아봄 농삿꾼 20-10-18 184
    7 원예성없는 자생란등재를 금지합시다 심비랑 22-03-28 182
    6 가격기재에 대하여 허당이성복 21-06-28 158
    5 난하나에 가입인사드립니다 (1) 청암 21-02-14 152
    4 궁금증 흥부성님 21-04-04 146
    3 제발 부탁합니다. 청우 23-02-10 95
    2 마감프K 사용하는 분 참조 난보고 23-07-18 78
    1 난(蘭)용어에 관하여... 일청송 24-05-23 51